선천성 거대결장 조기 진단과 치료 중요성
선천성 거대결장이란?
선천성 거대결장은 신생아 또는 어린 아이들에서 발견되는 장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장에 신경 세포가 없어서 장이 이완되지 못하게 되어 장 폐쇄 또는 변비를 초래합니다. 거대결장이란 이름은 장 부분이 신경 세포가 없어서 거대해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선천성 거대결장의 원인
아직까지 선천성 거대결장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질환은 태아기 동안, 약 12주 정도 동안 발생하며 장관 신경 세포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와야 하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신경 세포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이 멈추면서 발생합니다. 미숙아의 경우 신경 세포가 미성숙하여 이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주수를 채우면 장세포가 자연스럽게 성숙해질 수도 있습니다.
선천성 거대결장의 증상
선천성 거대결장은 주로 신생아 시기에 발견됩니다. 출생 후 48시간 내에 태변을 누지 못하거나, 잦은 구토 및 초록색의 담즙성 구토, 심각한 복부팽창, 변비, 잦은 변지림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이 질환은 대부분 신생아 시기에 발견되지만, 경우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 시기에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커서 성인이 되어서야 발견되기도 하며 이 경우에는 더 큰 학교에 입학하면서 장 폐쇄나 만성 변비로 고생하다가 알게 될 수도 있습니다.
선천성 거대결장의 위험 요인
선천성 거대결장의 위험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가족력 : 가족 중에서 이 질환을 겪은 사람이 있다면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별 : 남자 아이들이 여자 아이들보다 더 높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다른 질환 : 어떤 다른 질환과 연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운증후군이나 하이루시즘 증후군과 같은 질병과 함께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숙아 : 미숙아로 태어난 아이들은 선천성 거대결장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선천적 결함 : 어떤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장의 발달에 결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천성 거대결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선천성 거대결장 진단과 치료
선천성 거대결장 진단
선천성 거대결장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직장 수지검사 (Rectal Examination)
이 검사는 항문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직장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검사에서는 직장이 비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손가락을 항문에 집어 넣었을 때 대변과 공기가 다량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관찰하면 이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방사선적 진단 (Barium Enema, 대장조영술)
대장조영술은 특별한 방사선 검사로, 선천성 거대결장의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대장 사진에서 이행 부위(transitional zone)가 특징적인 브라보콘 모양으로 나타날 때 이 질환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직장항문 압력 검사 (Anorectal Manometry)
이 검사는 직장 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직장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검사는 전문적인 의료 기관에서 수행되며, 선천성 거대결장을 진단하는 데 정확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4) 직장생검법 (Rectal Biopsy)
직장 생검법은 직장 내의 조직을 검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방법에는 흡입생검법(rectal suction biopsy)과 수술적 전직장벽 생검법(full thickness rectal biopsy)이 있으며, 후자가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전신 마취가 필요합니다.
선천성 거대결장의 치료
선천성 거대결장의 유일한 치료법은 수술입니다. 수술은 신경없는 장을 잘라서 항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세 가지 정도의 수술 방법이 사용되며, 선천성 거대결장의 위치와 심각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합니다.
신경없는 구간이 짧은 경우 : 한 번의 수술로 처리 가능하며 회복이 빠르고 예후가 좋습니다.
신경없는 구간이 긴 경우 : 수술을 두 번에 나눠 진행해야 하며 회복이 어렵고 관리가 까다롭지만 시간이 지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대장 전체에 신경이 없는 경우 : 가장 복잡한 경우로,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주시가 필요합니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신생아와 어린 아이들에게 주로 영향을 미치며, 정확한 진단과 적시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 후 회복 기간은 각 환자의 상태와 수술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빠르게 회복되며 예후가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