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성 망막병증 증상, 치료 및 예방 방법

 

당뇨병성 망막병증 증상, 치료 및 예방 방법

당뇨병은 혈당 조절 실패나 유병 기간의 증가로 인해 우리 몸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성 질환입니다. 특히 눈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치명적일 수 있는데,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가 당뇨병성 망막병증입니다. 이 글에서는 당뇨병이 눈에 미치는 악영향, 주요 증상, 치료 방법, 그리고 예방 및 관리법까지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당뇨병과 눈 건강

당뇨병은 높은 혈당 수치로 인해 혈액이 끈적해지고, 혈관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손상은 특히 눈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눈 관련 질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당뇨병성 망막병증 : 망막의 혈관이 손상되어 시력 저하를 유발.
  • 신생혈관 녹내장 : 높은 안압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됨.
  • 망막혈관폐쇄 : 혈관이 막혀 혈액 공급이 중단.
  • 안구건조증 : 눈물의 생산 감소 또는 증발 증가로 눈이 건조함.

이 중에서도 가장 심각하고 흔한 합병증은 당뇨병성 망막병증으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이란?

망막은 눈의 뒤쪽에 위치하며, 빛을 받아 시각 신호로 변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의 혈관이 손상되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당뇨병성 망막병증이라고 합니다.

단계별 진행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 초기 단계로, 망막의 작은 혈관이 손상되며 미세한 출혈과 삼출물이 관찰됩니다.
혈액 공급 부족으로 망막의 일부가 손상되기 시작합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 망막의 산소 부족으로 인해 신생혈관이 생성됩니다.
신생혈관은 매우 약하고 쉽게 터져 출혈을 일으키거나, 망막 박리 등의 합병증을 초래합니다.

황반 부종 :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 부종이 생겨 시력이 심각하게 저하됩니다.

Diabetic retinopathy on a abstract background, detailed anatomy. The eye condition that affect people with diabetes.

당뇨병성 망막병증 주요 증상과 조기 발견의 중요성

초기 증상
초기 단계에서는 증상이 거의 없으므로 환자가 문제를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수입니다.

진행된 증상
시력 저하 :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시야가 제한됨.
비문증 : 떠다니는 점이나 선이 보임.
암점 : 시야에 어두운 점이 생김.
중심 시야 왜곡 : 황반 부종으로 인해 사물이 왜곡되거나 흐릿하게 보임.

뇨병성 망막병증 자가 진단 팁
한쪽 눈을 가리고 다른 눈으로 주위를 바라보며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시야의 흐림이나 암점을 감지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 치료 방법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조기 치료가 관건입니다. 치료는 질환의 진행 상태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혈당 및 혈압 관리
혈당과 혈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모든 치료의 기본입니다.
2) 레이저 치료 (범망막광응고술)
레이저를 이용해 손상된 망막 부위를 응고시키고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합니다.
3) 약물 치료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로 신생혈관과 황반 부종을 억제합니다.
4) 유리체절제술
출혈이나 망막 박리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 치료를 위한 수술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관리

정기 검진의 중요성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초기 증상이 없으므로 정기 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소 1년에 1회 정기 검진 권장 : 산동제를 이용한 망막 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OCT)을 통해 망막 상태를 점검.
혈당 조절 : 꾸준한 혈당 관리를 통해 망막 손상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금연 : 흡연은 혈관 손상을 가속화하므로 금연이 필수적입니다.
식단 관리 : 저염식, 저탄수화물 식단을 유지하며 혈압과 혈당을 관리.
운동 : 규칙적인 운동으로 혈액순환을 개선.

당뇨병성 망막병증 정기 검진 시 주의사항

검진 항목 :  시력 검사, 안압 측정, 망막 상태 검사 (산동 검사, OCT 촬영)., 형광안저촬영: 혈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산동제를 사용할 경우, 검진 후 약 4~6시간 동안 눈부심과 빛 번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동행인과 함께 방문하세요.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시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혈당 조절, 올바른 생활 습관이 핵심입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초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드시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눈 건강은 한 번 잃으면 되찾기 어렵습니다. 당뇨를 오래 앓고 있다면 지금 당장 가까운 안과를 방문하여 눈 상태를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